영화 관련 정보

[영화 제작 정보] TVN 대탈출에서 유병재가 언급한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의 맥거핀 효과 의미와 예시 및 판단방법, 그리고 기믹, 미회수떡밥, 체호프의 총과의 비교

신레전 2018. 8. 27. 15:42


맥거핀(Macguffin) 효과는 맥도날드에서 파는 맥머핀(McMuffin)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음식이름이 아닌 영화에서 사용되는 장치중 하나이다. 전설적인 영화 감독인 알프레드 히치콕의 1940년 영화 '해외특파원'에서 별 의미없는 암호명으로 사용되며 처음 등장하였다. 히치콕은 맥거핀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벽에 걸린 저건 뭔가요?"

"아, 저거요? 맥거핀이라고 합니다."

"맥거핀이라…어디에 쓰나요?"

"스코틀랜드 북부 산악지대에서 사자를 잡는 데 쓴답니다."

"스코틀랜드에는 사자가 없는데요?"

"아, 그럼 맥거핀은 아무것도 아닌 거군요."


이 예시에서 맥거핀에 대해 알 수 있는 것은 결론적으로 아무것도 아닌(Nothing) 맥거핀이란 소재로 6줄의 대화가 진행되었다는 것이다. 즉, 맥거핀은 이야기의 진행에 동기를 부여하고 구체적으로 설명되거나 해소되지않은채 자연스럽게 퇴장하는 장치를 말한다고 볼 수 있다.


<글을 진행시키기 위한 냥이발 사진>


맥거핀을 효과적으로 사용했다고 여겨지는 최근 영화로 탐크루즈 주연의 '미션임파서블3'가 있는데 작중 '토끼발(Rabbit Foot)'이라는 요소가 이야기를 진행시키는데 아주 중요한 요소로 등장하지만 뒤로 갈수록 중요도가 희미해지고 영화가 끝나고 나서 관객들은 토끼발에 대해 그다지 궁금해하지않게된다. 맥거핀을 아주 잘 사용한 경우다.



[OSEN] '미션임파서블3', 토끼발 때문에 네티즌 논란



맥거핀이란 것이 애매하게 느껴지다보니 많은 사람들이 맥거핀에 대해 잘못 이해하는 경우가 많아 맥거핀에 대한 수많은 잘못된 예시들이 인터넷에 떠돌고 있으니 인용시 주의해야한다. 해당 장치가 맥거핀인지 아닌지 간단하게 판단할 수 있는 질문을 만들어봤다.


1. 해당 장치가 이야기를 진행시키는가?

영화에 어떤 장치가 등장했는데 그장치가 이야기를 진행시키지않는 경우에는 맥거핀이라고 볼 수 없다. 이런 경우에는 기믹(Gimmick)이라고 하며 그냥 그런 설정이 있다는 것을 뜻한다.


2. 구체적으로 설명되지않아야한다.

어떤 요소가 초반에 제시되어 이야기를 진행시키다가 충분한 설명을 통해 그 요소에 대한 관객의 궁금증이 해소된다면 맥거핀이 아니다. 

예시) 최동훈 감독의 영화 '도둑들'에 나오는 아야투레(태양의 눈물) 및 대다수의 영화 속 요소들


3. 작품이 끝난 후에 딱히 중요하게 여겨지지않아 더이상 궁금하지않은 요소로 남아야한다.

초반에 이야기를 끌어가는 요소를 넘어 이야기의 중심이 되는 요소였지만 작품이 끝날 때까지 제대로 설명이 되지않은 것은 "미회수 떡밥"이라고 한다. 앞에서 말했듯 맥거핀은 아무것도 아닌 것(Nothing)이어야한다. 또한 미회수 떡밥은 작품에 의도적으로 사용되는 장치가 아니고 창작자의 실력부족이나 실수이다.



체호프의 총은 극에서 눈에 띄는 장치가 나오는데 그것이 극이 끝날 때까지 사용되지않는다면 그것을 치워버려야한다는 이론이다. 기업 경영에서 구조조정이 생각나는 부분이다. 많은 학문들에는 확실히 공통점이 있다. 체호프의 총은 히치콕의 맥거핀과 모순되는 이론인듯 보이나 전혀 그렇지않다. 체호프의 총은 극적인 장치를 뜻하는 반면 히치콕의 맥거핀은 아무 것도 아닌 것(Nothing)를 뜻한다. 또한 체호프의 총은 극을 이끌어가는 장치가 아니고 누군가에게 사용되어야하는 요소이다. 즉, 체호프의 총에는 행동적 의미가 들어있고 히치콕의 맥거핀은 존재적 의미를 지닌다. 


<히치콕: 체호프, 네가 총이 있으면 쏴야된다며? 빵야>


나무위키에 나온 예시를 보면 결투장면에서 벽에 각종 무기(병장기)들이 걸려있는데 주인공이 악당과 싸우던 중 자신의 칼이 부러져서 벽에 있는 무기를 꺼내서 싸운다면 이 체호프의 총 규칙이 잘 지켜진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한다. 여기서 좀 더 응용하면 벽에 걸린 병장기가 결투장면의 배경으로 아름답게 보인다거나 혹은 반짝거리는 칼날에 싸움장면이 비치거나 또는 둘의 대결중 튀긴 피가 은색칼날에 흐르거나 또는 서로 밀어붙였을 때 칼에 찔릴 수 있는 두려움을 주는 것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도 생각한다. 


체호프의 총 규칙으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가장 큰 단점은 클리셰가 남발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체호프의 총 규칙을 지키는 것은 클리셰를 부드럽게 피하는 것과 함께 고려되어야 관객의 흥미를 충분히 유발할 수 있게 된다.